Problem. \frac{1}{n}+\frac{1}{n+1}+\frac{1}{n+2}+\cdots +\frac{1}{2n}< a_i \quad (i=1,2,3)
여기서 a_1 = 1,\> a_2= 3/4,\> a_3=\ln 2


Solution of Problem.

A(n,0),B(2n,0),C(n,\frac{1}{n})
cf) \int_n^{2n} \frac{1}{x} dx = \ln 2

'學 - 수학 공책 > 풀어본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와 드디어 풀었다  (0) 2013.02.21
포공 면접 기출이였던가...  (0) 2013.02.18
작년 가을에 풀었던 문제  (0) 2013.02.08
사소한 풀이  (0) 2012.02.05
기하 문제  (0) 2011.12.04
Posted by 리커리시

원래 문제는  http://blog.naver.com/dongq98/149952585 에 있습니다.

마주보는 변 길이 구하는 줄 알고 '우이씨 숫자가 왜이리 복잡해, 이 풀이 안 좋아지는데' 하다가 각이라는 걸 알고 orz 그리고 올립니다.
 


AB=AD=BD=1+√3

DC=DE=1

여기서 ∠DEC=∠DCE=30도임을 외각의 성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CE=EB=√3이므로 ∠ECB=∠EBC=15도이다. (역시 외각의 성질에서 확인 가능)

따라서 ∠B=75도, ∠C=45도



원래 네이버 블로그에 올렸으나 제가 네이버 블로그는 서로이웃 공개로 운영하는 관계로 여기 또 올립니다. 


p.s. 추가합니다. 그냥 말로만 하겠습니다.
위 그림과 같은 ABC를 생각합시다. 이제 C에서 AB로 수선의 발 D를 내리고 A를 CD에 대칭시킵니다. (A'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AD=1+√3/2이고 따라서 DB= √3/2, A'B=1입니다. 한편 CD= √3/2 (2+ √3)이고, A'C=AC=2+√3입니다. 따라서 CD:CA'=BD:BA'이고, 따라서 BC는 각 DCA'를 이등분합니다. 따라서 각 C는 45도. 나머지 각은 구할 수 있겠죠?
 

'學 - 수학 공책 > 풀어본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와 드디어 풀었다  (0) 2013.02.21
포공 면접 기출이였던가...  (0) 2013.02.18
작년 가을에 풀었던 문제  (0) 2013.02.08
어떤 합의 상계에 대한 PWW  (0) 2012.02.10
기하 문제  (0) 2011.12.04
Posted by 리커리시
 http://www.gogeometry.com/problem/problem002에 대한 풀이. 아직 감은 없어서 푸는데 1시간 정도(그 이상이였나) 걸림.
 
Solution.

BD가 AC와 만나는 점을 E라고 하고, A에서 BC에 평행하게 그은 선이 BE와 F에서 만난다고 하자. 그리고 AC위에서 BC=BG를 만족하게 점 G를 잡자. 그러면 ∠EDC= ∠ECD=30˚이므로 ED=EC.  ∠AFB=∠FBC=∠ABF=20˚므로 AB=AF다. 한편 △AFE∽△CBE이므로 AE:EC=AF:BC이고, 따라서 AE:ED=AB:BG이다. 또 ∠G=40˚,  ∠GAB=80˚므로 ∠GBA=60˚이다. 한편 ∠AEB=60˚므로 △AED∽△ABG. ∴ ∠DAC=∠GAB=80˚ 
 

'學 - 수학 공책 > 풀어본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와 드디어 풀었다  (0) 2013.02.21
포공 면접 기출이였던가...  (0) 2013.02.18
작년 가을에 풀었던 문제  (0) 2013.02.08
어떤 합의 상계에 대한 PWW  (0) 2012.02.10
사소한 풀이  (0) 2012.02.05
Posted by 리커리시
이번엔 그리 거창한 건 아니고 합을 곱으로 바꾸는 방식을 유도해보려고 합니다. 그러나, 삼각함수 합공식에서 이끌어내는 것이 아닌, 벡터의 직교좌표를 극좌표로 바꾸는 방법을 이용하겠습니다. (벌써 파악이 되시는 분이 있으신가요?)

\vec{A} = (\cos \alpha , \sin \alpha ), \vec{B} = (\cos \beta , \sin \beta )를 생각해봅시다. 이 둘을 합하면 당연히 \vec{A} +\vec{B} = (\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가 될 것입니다.

그러면, 저 벡터는 어떻게 극형식으로 나타날까요?
우선, 저 벡터의 크기를 구해보기로 합시다. \vec{A}\vec{B}의 편각차이는 \beta - \alpha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저 벡터의 크기가 2 \cos (\frac{\alpha - \beta}{2}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저 벡터의 편각은 \frac{\alpha + \beta }{2}입니다. 따라서 (\cos \alpha +\cos \beta , \sin \alpha +\sin \beta ) = \left( 2 \cos( \frac{\alpha - \beta}{2}) \cos (\frac{\alpha + \beta}{2}), 2 \cos( \frac{\alpha - \beta}{2}) \sin ( \frac{\alpha + \beta}{2}) \right)입니다.

'學 - 수학 공책 > 해본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키스틱 법칙  (2) 2012.03.31
꼬인위치에 있는 두 직선의 공통수선  (3) 2012.03.10
정육면체를 잘라서 생기는 삼각형은 모두 예각삼각형이다!  (0) 2012.03.10
FHxFH=bb  (3) 2011.11.06
Homothety  (0) 2011.09.13
Posted by 리커리시
Lemma 1.1. F1,F2를 초점으로 하는 타원을 생각하자. 점 P를 지나는 접선으로 초점 F1에 수선의 발을 내리자. 그 수선의 발은 타원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고 장반경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 위에 있다.

Proof of Lemma 1.1.
 

F1을 접선에 대칭시킨 점을 F'1이라 하자. 그러면 PF1 + PF2 = PF1 + PF2 =2a이다. 여기서 a는 장반경의 길이다. 한편 접선에 내린 수선의 발 H1은 F1F'1의 중점이고 타원의 중심 O도 F1 F2의 중점이다. 따라서 H1O=a이다.  

Theorem 1. 위와 같은 상황에서 F2에서 접선에 내린 수선의 발을 H2라고 하자. 이때 F1H1×F2H2=b²이다. 여기서 b는 단반경의 길이이다.
Proof of Theorem 1.
 

타원과 장축이 만나는 점을 A,B라고 하고, AB를 지름으로 하는 원을 생각하자. 그러면 위의 lemma에 의해 H1, H2는 그 원 위에 있다. H2를 O에 대칭시킨 점을 H'2라고 한다면 F1O=F2O, H2O=H'2O, ∠F2OH2=∠F1OH'2므로 △F1OH'2≡△F2OH2이다. 따라서 F2H2=F1H'2이다. 고로 F1H1×F2H2=AF1×BF1=(a-f)(a+f)=b²이 성립한다. 여기서 f는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이다.
Posted by 리커리시
學 - 수학 공책2011. 10. 29. 01:09

피타고라스 정리와 형태가 유사해서 3차원 피타고라스 정리라고도 부르는 것인데, 한 번 어떤 정리인지 알아봅시다.

Theorem 1. 사면체 O-ABC가 직각사면체(즉, O를 한 꼭지점으로 하는 정육면체를 잘랐을 때 나오는 사면체)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OAB]^2+[OBC]^2+[OCA]^2=[ABC]^2
이를 위해 다음 두 보조정리를 증명해보기로 합시다.
Lemma 1.1. 직각사면체 O-ABC에서, O에서 평면 ABC로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그러면 H는 ABC의 수심이다.
Proof of Lemma 1.1


OH가 평면 ABC에 직교하고, OA가 평면 OBC와 직교하므로 OA⊥BC다. 따라서 삼수선 정리에 의해 AH⊥BC이다. 비슷한 방법으로 BH⊥CA, CH⊥AB임을 보일 수 있다. 즉 H는 ABC의 수심이다.

 Lemma 1.2. [BCO]^2=[BCH][ABC]

Proof of Lemma 1.2
A에서 BC로 내린 수선의 발을 D라고 하자. 그러면 Lemma 1.1에 의해 H가 AD 위에 있고, 따라서
[BCO]=OD\times BC, [BCH]=HD\times BC, [ABC]=AD\times BC 이 성립하므로 다음을 보여도 된다 :
OD^2=AD\times HD
그런데 OA가 평면 OBC와 직교하므로 OA⊥OD이다. 즉 삼각형 OAD가 직각삼각형이므로 이 등식이 성립한다. 

Proof of Theorem 1.
Lemma 1.2에 의해 [BCO]^2=[BCH][ABC] 이다.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CAO]^2=[CAH][ABC], [ABO]^2=[ABH][ABC] 역시 보일 수 있다. 세 식을 다 합하면 우리가 원하는 정리가 이끌어진다.


이제 3차원 Inverse Pythagorean Theorem를 이끌어봅시다!

Theorem 2. 위에서 있던 것과 같은 직각사면체 O-ABC에서 다음이 성립한다 :
\frac{1}{OA^2}+\frac{1}{OB^2}+\frac{1}{OC^2}=\frac{1}{OH^2}

Proof of Theorem 2.
Inverse Pythagorean Theorem을 두 번 적용하면
\frac{1}{OA^2}+\frac{1}{OB^2}+\frac{1}{OC^2}=\frac{1}{OA^2}+\frac{1}{OD^2}=\frac{1}{OH^2}이다.


참고하면 좋은 자료 : http://www.cs.bc.edu/~alvarez/NDPyt.pdf
n차원으로 이 정리를 확장한 것의 증명입니다. 정리의 확장이야 어떻게 될 지 쉽게 예상되므로 생략합니다.

'學 - 수학 공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verse Pythagorean theorem과 그 일반화  (0) 2011.10.09
Posted by 리커리시
學 - 수학 공책2011. 10. 9. 00:48
Theorem 1. 직각삼각형 △ABC(C가 직각)에서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h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frac{1}{a^2}+\frac{1}{b^2}=\frac{1}{h^2}
Proof of Theorem 1. ab=ch \Leftrightarrow c=\frac{ab}{h} a^2+b^2=c^2에 대입하고 양변을 (ab)2로 나누면 나온다.



이 정리를 코사인법칙과 비슷하게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Theorem 2. △ABC에서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h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frac{1}{a^2}+\frac{1}{b^2}-\frac{2\cos C}{ab}=\frac{\sin ^2 C}{h^2}
Proof of Theorem 2. ab\sin C=ch \Leftrightarrow c=\frac{ab\sin C}{h} a^2+b^2-2ab\cos C=c^2에 대입하고 양변을 (ab)2로 나누면 나온다.



 
Posted by 리커리시
Theorem 1. 같은 평면상에 있는 두 삼각형 \triangle ABC, \triangle DEF 에 대해  AB \parallel DE, BC \parallel EF, CA \parallel FD 가 성립하면 AD \cap BE \cap CF 가 존재한다.
Proof of Theorem 1. 
 
\triangle DEF를 밑면으로 하는 직삼각기둥 DEF-D'E'F'를 생각하자.

그러면 AB \parallel D'E', BC \parallel E'F', CA \parallel F'D' 이므로 ABD'E', BCE'F', CAF'D' 가 각각 한평면 위에 있다. 따라서 세 평면의 교점 O가 존재한다.
이제 O에서 \triangle ABC가 있는 평면에 수선의 발 P를 내리자.  그러면 A,D',OB,E',OC,F',O가 각각 일직선상에 있으므로 A,D,OB,E,OC,F,O가 일직선상에 있다. \Box

그림이 좀 조잡하게 나왔네요 -_-;
Posted by 리커리시